건축학개론 줄거리 결말 명대사 (2012)

영화의 내용은 건축학과 학생인 승민이 첫사랑 서연과의 이야기를 후배인 세영에게 이야기하며 시작됩니다. 승민과 서연의 사랑 이야기는 1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추억과 감정이 그려지는데요. 이 영화는 첫사랑의 순수함과 아픔, 그리고 그것이 현재의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건축한개론의 자세한 내용과 명대사까지, 모두 준비해 보았으니 함께 보실까요?

건축학개론

건축학개론 줄거리

승민과 서연의 사랑 이야기는 15년 전 대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승민과 서연은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며 좋아하게 되지만, 그들의 사랑은 순탄치 않습니다. 건축과인 승민은 서연을 위해 집을 짓기로 결심, 이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랑은 행복한 결말을 맺지 못하는데요. 서연 승민이 자신을 위해 집을 짓기로 결심하는 등 다양한 노력하는 동안 자신도 승민을 위해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생각에 불안과 압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은 그녀가 결국 승민을 떠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죠.

이 영화는 첫사랑의 아픔과 그 트라우마 아닌 트라우마가 인생에 미치는 영향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승민은 서연과의 사랑을 통해 사랑이라는 것과 인생, 그리고 건축에 대한 자신만의 깊은 이해를 얻게 됩니다. 이 이야기는 세영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는 영화의 후반부에서 세영이 승민에게 그녀의 진심을 전하면서 드러납니다. 영화 ‘건축학개론’은 사랑과 아픔, 그리고 성장의 이야기를 아름답게 그린 영화로 첫사랑의 순수함과 사랑에 대한 진심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합니다.

건축학개론 결말

‘건축한개론’의 결말은 승민과 서연, 그리고 세영의 각자의 성장과 변화를 그립니다. 승민은 15년 전 첫사랑 서연에 대한 사랑과 후회로 인해 건축쪽에서 성공하게 되었는데요 서연에게 약속했던 ‘집’을 지어주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마음이 남았죠, 그 후로 건축학에 계속 몰두하게 됩니다. 그의 이야기를 들은 세영은 승민의 사랑과 열정에 감동받아 승민에게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한편, 서연은 승민을 떠나 결혼하게 되지만, 승민에 대한 그리움은 여전히 가슴 깊이 남아있는데요. 그리고 그녀는 승민이 지어준 집에서 그의 기억과 사랑을 느끼며 이야기가 마무리됩니다. 승민은 서연에게 한 약속과 같이 집을 지어주겟다고 약속했고, 이번에는 그의 사랑과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되기도 합니다.

건축학개론 명대사

건축학개론에서 인상적이었던 명대사 10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래서 너를 그린다. 그림은 너의 집, 너의 집은 너다.”
  2. “사람이란 그림을 그리는 거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한, 사람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3. “사람이란 이상하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리움은 커져만 간다.”
  4.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래서 너를 그린다. 그림은 너의 집, 너의 집은 너다.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한 나는 너를 영원히 간직할 수 있어.”
  5. “사랑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그 사람을 위해 집을 짓는 것이다.”
  6. “진정한 사랑이란, 그 사람이 누구든 간에 그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7.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은 그립다. 그리움은 시간이 흐를수록 커져만 간다.”
  8.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을 위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을 지어주는 것이다.”
  9.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위해 집을 지어주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일 것이다.”
  10. “너를 위해 집을 짓는 것, 그것이 바로 나의 사랑이다.”
  11. 재수하는것도 서러운데.. 공부까지 열심히 해야되?
  12. 이제 그만… 꺼져줄래?
  13. 뱀처럼 알지 스네이크 만나~자연스럽게..되겠지 자연스럽게 막 섞여 하나 하나 하나가 되는거지 비벼 막 비벼 조온나비벼!! 존나 비벼 뒤로 갔다 앞으로 갔다 존나비벼 환상 이게 키스야 이게키스야 니가 한건 뽀뽀고 만나면 반갑다고 뽀뽀고
  14. 손목 때리기는 보통 사이에선 하지 않지 않냐? 막 손 잡고 그래야 하는데
  15. 너도 멀리 가 있어. 그렇다고 너무 멀리 가진 말고.
  16. 너 옛날에 약속했었잖아, 나 집 지어 준다고 기억안나?
  17. 자기가 살고 있는 곳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이해를 시작하는 것 이게 바로 건축학개론의 시작입니다.
  18. 그냥 나 사는 게 매운탕 같아서. 안에 뭐가 들었는지도 모르겠고 그냥 맵기만 하네
  19. 나도 널 좋아했으니까 니가 내 첫사랑이니까

건축학개론 후기

건축에 대한 아름다운 비유와 시각적 표현으로 은은한 감동을 주는 건축학개론. 감독은 사랑과 인생, 그리고 건축에 관계를 엮어 감동적인 이야기를 선물하는데요. 그의 세밀한 연출력은  영화 속에서 깊고 아름다운 메시지로 전달됩니다. 건축학개론은 그냥 단순 영화가 아닌, 사랑과 인생, 그리고 건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하는 예술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